4학년 농적 삶 1일차

작성자
kurory
작성일
2017-10-16 17:47
조회
1291
출발

2017년 10월 16일 월요일 아침. 수원역 열차 대합실에 모두 모였습니다. 시간이 되고 모두 들뜬 마음으로 열차에 올라탔습니다. 사실 주제는 '농적 삶'이지만 꼭 여행이라고 이름이 붙어야 들뜨는 건 아닌가 봅니다. 항상 보던 것들, 항상 듣는 소리들, 뿌리를 내리고 살고 있는 곳을 잠시 떠나 있는 것 자체가 여행인 것 같습니다. 가을에 맞게 금빛으로 변한 들판과 나란히 홍성에 도착했습니다.

도착

11시 40분쯤 열차가 홍성역에 들어섰습니다. 꾸벅꾸벅 졸다가, 골똘히 생각하다가, 책을 읽다가 안내 방송을 듣고 배낭을 주섬주섬 챙겨들기 시작했습니다. 도착을 하는대로 점심으로 준비한 도시락을 먹을 장소를 찾았습니다. 아주 크지도 않고, 아주 작지도 않은 홍성역에는 사람도 많지 않아서 가방을 풀고 배를 채우기에는 너무 좋았습니다. 점심 식사를 하고, 각자 준비한 간식까지 먹고 나서 홍성 의료원 앞으로 걸음을 옮겼습니다.

기다림

시간은 12시 45분. 다음 버스는 1시 25분. 40분 정도를 기다려야 홍동으로 향하는 버스를 탈 수 있습니다. 한 시간에 한 대꼴로 있는 버스를 기다리고 서 있자니 생소합니다. 버스 전광판과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실시간으로 버스 시간을 분 단위로 확인하며 노심초사하는 도시에 있다가 와서 그런 것 같습니다. 버스 정거장 풍경도 다릅니다. 버스가 오는 방향을 바라보는 것이야 다를 게 없다지만 고개를 숙이고 각자의 스마트폰을 바라보는 사람은 없습니다. 할머니 몇 분도 처음 보는 저희에게 어디서 왔느냐고, 어디로 가느냐고 물어보십니다. 가만히 생각해보니 도시에서는 낯선 모습이 되어버렸습니다.

도착

1시 50분쯤 버스에서 내려 5분쯤 걸었습니다. 갓골 게스트하우스는 길을 마주하고 있지 않습니다. 그래서인지 길을 돌아서 건물의 얼굴을 마주하면 마치 숨겨져있던 정원을 마주한 듯한 느낌이 듭니다.

밝맑 도서관

잠시 정리와 휴식 시간을 가진 후에 오늘의 본격적인 일정을 시작했습니다. 저희는 농적 삶을 살기 위해서 이곳에 왔습니다. 소비와 단절로 대표되는 도시에서 벗어나서 '재생산'을 통해 생명의 끈을 잡아보고, 그 끈을 잡고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을 배워가기 위해서 여기에 왔습니다.  그에 앞서서 농업, 마을 공동체에 대해서 '공부'하는 시간을 갖고자 했습니다. 저희는 밝맑 도서관에 가서 농업, 마을 공동체에 대한 책을 함께 읽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침묵과 독서의 시간을 갖고, 각자 읽은 책의 내용을 기록했습니다. 그리고 함께 나누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최은기

<시골빵집에서 자본론을 굽다>  -와타나베 이타루-

이 책은 마르크스의 자본론을 빵 만들기를 통해 설명하는 책이다. 이 책을 지은 와타나베 이타루는 농업을 꿈꾸는 농부였지만 30살이 되어서야 농부가 아닌 농산물 회사에 취직하게 되었고 거기서 원산지 위조와 다른 부조리한 시스템을 알게 되었고 아버지의 영향을 받아 마르크스의 자본론을 읽기 시작하면서 이런 생각을 갖게 되었다. '모든 것은 썩거나 부패해서 자연으로 돌아가기 마련인데 왜 돈은 부패하지 않고 끝없이 늘어날까?' 이런 생각을 가지고 그는 농산물 회사를 퇴사하고 제빵 기술을 배워 아내와 함께 빵집을 차린다. 이타루는 '돈과 경제를 부패하게 만들자'라는 이념으로 이윤을 추구하지 않는 빵집을 운영 중이다. 그리고 마르크스의 자본론을 부패와 발효의 좋은 예인 '균'으로 설명한다. 우리가 지금 배우고 있는 경제학적 용어들도 조금 나온다. 지금까지는 좋은 책인 것 같다. 조금 더 읽어봐야 할 것 같다.

송지수

<동네 에너지가 희망이다> -이유진-

이 책은 옛날에 나온 책이지만 지적 에너지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해 여러가지 예를 통해 설명하는 책이다. 먼저 중앙집권화된 에너지의 흐름에 대해 문제제기를 한다. 대도시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인구가 작은 지역에 발전소를 짓고, 일방적인 밀어붙이기식으로 설득한다. 그 뿐만 아니라 그런 발전소가 쓰는 자원도 한정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더 심각한 문제가 된다. 이에 해법으로 동네에너지(지역에너지)를 내놓는다. 여러 마을과 도시 등의 지역들이 소개되는데 지금 이곳의 홍동도 소개된다. 1980년부터 풀무학교 중심으로 대체에너지를 연구하기 시작했고, 정부의 지원을 받아 풍력, 태양 그리고 바이오매스 에너지를 이용해 마을을 지탱하고 있다고 한다. 이에 더불어 마을 공동체의 관계를 더 좋게 만들게 되었다고 한다. 또 부안군에서는 유채기름이라는 대체에너지를 개발하게 되었고, 제주도에서는 풍력 중심으로 친환경 에너지를 이용하고 있다. 또 일본, 중국까지 해외의 다양한 사례들도 얘기해준다. 대체 에너지, 친환경 에너지를 한 단계 넘어 지역 에너지, 동네 에너지라는 개념을 이용해 에너지 자립도를 높이고 지역 공동체를 개발하는데 쓰이면 좋을 것 같다. 에너지 민주주의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지역 에너지, 동네 에너지는 꼭 필요하다고 생각이 든다.

이경빈

<기적의 마을 이야기> -쓰지 히데유키-

인구 1900명을 밑도는 일본의 야스오카 마을에 아이들이 1년씩 산촌유학을 하면서 마을이 싫다면 사람들이 마음을 열고 도시로 떠났던 사람들도 돌아오게 되는 내용을 기록한 책이다. 2박 3일로 시작했지만 학생과 학부모의 요청으로 기간은 1년으로 늘어났다. 학생들은 생활할 집도 직접 짓고, 밥도 직접 하고 농사를 짓고 마을 일을 도우며 마을과 어우러진다. 이 지역에서 학교를 다니고, 오고가며 마을 주민들과도 인사를 나눈다. 이 생활학교 다이다라봇치에는 20명의 학생들이 있는데 다수결 없이 대화로 풀어가려면 20명까지가 적당하기 때문에 학생 수에 제한을 둔다고 하낟. 오늘 읽은 것은 여기까지! 내일 마저 읽고 싶다.

김학민

<마을이 학교다> -박원순-

우리는 좋은 학교라고 하면 흔히 큼지막하고 번듯한 건물에 각종 시설이 두루 갖추어져 있고 학생과 교사가 수백 명이 넘는 학교를 떠올린다. 그런 것은 선입견에 불과하다고 풀무학교 사람들은 생각한다. 오히려 작은 학교가 좋은 학교라는 게 이곳 교사들의 믿음이며, 설립자의 철학이기도 하다. 한 학년 한 학급을 원칙으로 하고 작은 학교로 가기 위해서 기술학교로 허가신청을 냈다. 농업도 있고 공업도 있지만 농업이 가장 중요하고, 전인 교육을 위해서는 작은 학교여야 한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풀무학교의 교훈은 '더불어 사는 평민'이다. 엘리트 교육, 출세 교육이 아닌, 평민들이 타고난 있는 그대로의 개성을 존중하는 교육, 그래서 혼자만이 아니라 더불어 사는 공동체 지향의 인격을 가진 사람을 키운다는 목적을 지향한다. 사람마다 개성이 있는데 어떻게 성적이라는 하나의 잣대로 차별할 수  있느냐고, 설립자들은 열매를 따는 사람보다 사회의 뿌리를 돌보는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했다고 한다.

마무리

침묵과 독서가 끝난 후 밥을 짓고 각자 가지고 온 밑반찬으로 맛있게 저녁 식사를 했습니다. 씻고 정리하는 시간을 가진 후에 함께 배움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번 주 금요일에 들어가게 될 '젊은협업농장'이 어떤 생각으로 어떻게 시작이 되었는지 읽으면서 궁금한 것들을 묻고 생각했습니다.



이 시간 후에는 모두 한 자리에 모여 하루를 마무리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감정 카드를 이용해서 떠나기 전, 떠난 후, 지금의 감정을 생각해봤고 서로 어떤 마음이고 어떤 생각이 들었는지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첫날이 마무리되었습니다.

농적 삶을 위한 준비의 시간인 이 며칠 동안 먼저 저희의 생각을 많이 키우겠습니다.
전체 4

  • 2017-10-21 20:02
    우와~~후기가 이렇게 많이 올라와있네요!! 오늘 처음 봐요! 맨 마지막 사진은 드론으로 찍으신건가요?? ^^

  • 2017-10-22 00:11
    여행 이야기가 벌써 있을지 생각못하고 있었네요. 여행중이라 힘드실텐데 생생한 일기 감사드려요~
    같이 여행하는 기분이겠네요.

  • 2017-10-22 08:55
    생생한 이야기
    마치 읽는 이로 하여금 같이 여행하고 있는 기분이 들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2017-10-23 09:37
    아이들 글을 보니, 흐뭇하기만 합니다.
    애써주시는 선생님, 감사해요! ^^